용오름체험휴양마을영농조합법인 / 홍천 용오름캠핑장 팸투어 다녀왔어요.

용오름체험휴양마을영농조합법인 / 홍천 용오름캠핑장 팸투어 다녀왔어요. 강원도 홍천 서석면에 위치해있으며 1급수 용오름계곡 바로 옆에 있습니다.홍천군 1등 마을로 마을에서 직접 관리하는 용오름캠핑장,펜션 10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종 모임이 가능하도록 식당,회의실,야외무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홍천군 1등 마을답게 캠핑장,펜션 마을 전지역 wi-fi 사용이 가능하며 매년 봄 팸투어 실시, 여름엔 마을에서 재배한 홉으로 직접만든 맥주축제,마리소리 음악축제 를 열고 있습니다.계곡의 경우 수심이 다양하여 다이빙 포인트가 2곳이 있으며 아이들이 안전하게 물놀이를 할 수 있는 곳도 여러 곳 있습니다. 홍천 용오름캠핑장 팸투어 다녀왔어요. 요즘은 농산촌체험마을에서 캠핑과 여러프로그램을 같이 하는 곳이 추세더라고요. 아미산이 둘러쌓인 청정계곡이 흐르는 아름다운 용오름체험휴양마을 에서 운영하는 홍천 용오름캠핑장 팸투어 다녀왔어요. 테크 앞 강이... 붕어빵 가족의 담너머 세상구경 https://m.blog.naver.com/1092119/220711235599 가을여행-홍천여행- 홍천 용오름 마을 첫째날 여행의 계절 가을입니다. 요즘 저희는 강원도에 꽃힌 상태인지라...카페 행복한 이티씨와 함께하는 홍천 용오름 마을 1박2일 체험에 참가를 하였답니다! 평소 체험 시간보다 조금 늦은 출발을 해서 차가 밀리지 않으려나... 귀여운 단지 https://m.blog.naver.com/sanguidan/50181593653 용오름마을 캠핑장 여름휴가의 시즌이다.. 강원도의 계곡과 시원함을 만끽하기 위해 캠핑장을 검색하다 우연히 알게 된 홍천의 용오름 캠핑장.. 성수기라 캠핑장 요금들이 사악하다 용오름캠핑장 옆엔 해미르 캠핑장이 있는데... ★살로몬의 잇츠캠핑★ https://m.blog.naver.com/freeguy9040/20163628934 맥주효모로 만든 용오름맥주마을 바쏘 맥주샴푸와 맥주마스크팩... 1988년까지 맥주 원료인

CDQ 알고리즘 (분할 정복을 이용한 오프라인 쿼리 최적화)

CDQ 알고리즘 (분할 정복을 이용한 오프라인 쿼리 최적화)

우선 출처를 먼저 밝힌다.

https://programmer.group/cdq-divide-and-conquer-learning-notes.html

중국인분께서 작성하신 글이다. 예제가 친절해서 이해하기 좋았다. 아마 다른 용어로 다들 알고있겠지만.. CDQ 알고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된 버전은 없는 것 같아서 국문으로 포스팅한다.

CDQ 알고리즘은 Chen Danqi라는 사람이 고안한 것이라고 한다. 그 분의 이름을 본따 지은 알고리즘이다.

기본적으로 분할 정복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쿼리를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것 같다.

1.

분할 정복에서 가장 대표적인 예시라고 하면 병합정렬(merge sort)이다.

좌구간, 우구간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정렬시키고 합치는 과정이다.

좌우 구간을 합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시간복잡도가 $O(n)$이라 총괄 복잡도는 $O(n \log n)$이다.

좌우 구간을 합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처리를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역전 개수 세기(counting inversion)가 있다.

배열 $A[1:n]$에서 역전(inversion)이란, $i < j$이면서 $A[i] > A[j]$를 만족하는 $(i, j)$ 튜플을 의미한다.

그 개수를 2중 for 문을 통하여 완전 탐색하면 $O(n^2)$의 시간복잡도가 걸린다.

하지만 좌우 구간을 분할하여 각각을 정렬시키고나서 합치면 다음과 같은 최적화가 가능하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const int MAX_N = 1e5 + 20; int N, A[MAX_N]; int T[MAX_N]; // 임시 저장공간 ll CountInversion; void merge_sort(int l, int r) { if (l == r) return; int m = (l + r) / 2; merge_sort(l, m); merge_sort(m+1, r); int p1 = l, p2 = m+1, p = l; while (p1 <= m && p2 <= r) { if (A[p1] <= A[p2]) { T[p++] = A[p1++]; } else { CountInversion += m + 1 - p1; T[p++] = A[p2++]; } } while (p1 <= m) T[p++] = A[p1++]; while (p2 <= r) T[p++] = A[p2++]; for (int i=l; i<=r; i++) A[i] = T[i]; } int main() { scanf("%d", &N;); for (int i=1; i<=N; i++) scanf("%d", &A;[i]); merge_sort(1, N); printf("%lld

", CountInversion); }

$A$ 배열이 정렬되는 것은 그냥 side effect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너무 well-known이라 간단히 코드만 첨부하고 넘어가겠다.

2.

사실 역전 개수 세기 문제는 굳이 병합정렬을 사용하지 않아도 괜찮다.

펜윅트리를 이용하여 $i = 1, 2, \dots, n$ 순서를 차례대로 읽어가면서, $A[1:i-1]$ 원소 중에 $A[i]$보다 큰 것들의 개수를 세면 되기 때문이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define ALL(x) (x).begin(), (x).end() #define UNIQUE(x) (x).erase(unique(ALL(x)), (x).end()) #define NTH(v, x) (lower_bound(ALL(v), (x)) - (v).begin()) const int MAX_N = 1e5 + 20; namespace FW { int F[MAX_N]; void add(int p, int v) { for (; p cA; // 좌표압축을 위해 for (int i=1; i<=N; i++) { scanf("%d", &A;[i]); cA.push_back(A[i]); } sort(ALL(cA)); UNIQUE(cA); for (int i=1; i<=N; i++) { A[i] = 1 + NTH(cA, A[i]); CountInversion += FW::sum(A[i]+1, MAX_N-1); FW::add(A[i], 1); } printf("%lld

", CountInversion); }

3.

다음과 같은 문제를 생각해보자.

2차원 좌표 평면에 $n$개의 점 $(A[i], B[i])$가 있다. (편의상 점들의 좌표가 모두 다르다고 하자.)

$i

eq j$이면서 $A[i] \leq A[j]$, $B[i] \leq B[j]$를 만족하는 튜플 $(i, j)$의 개수를 구하여라.

$A$, $B$ 배열을 한 데 모은 다음 사전순으로 정렬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원소를 차례대로 읽으면 $A$ 값이 비감소함은 보장되어있다.

나머지는 펜윅트리를 이용하면 어렵지 않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typedef pair pii; #define ALL(x) (x).begin(), (x).end() #define UNIQUE(x) (x).erase(unique(ALL(x)), (x).end()) #define NTH(v, x) (lower_bound(ALL(v), (x)) - (v).begin()) const int MAX_N = 1e5 + 20; namespace FW { int F[MAX_N]; void add(int p, int v) { for (; p cA, cB; // 좌표압축을 위해 for (int i=1; i<=N; i++) { scanf("%d %d", &A;[i], &B;[i]); cA.push_back(A[i]); cB.push_back(B[i]); } sort(ALL(cA)); sort(ALL(cB)); UNIQUE(cA); UNIQUE(cB); ll cnt = 0; for (int i=1; i<=N; i++) { A[i] = 1 + NTH(cA, A[i]); B[i] = 1 + NTH(cB, B[i]); AB[i] = {A[i], B[i]}; } sort(AB+1, AB+1+N); for (int i=1; i<=N; i++) { int a, b; tie(a, b) = AB[i]; cnt += FW::sum(b); FW::add(b, 1); } printf("%lld

", cnt); }

4.

한 차원 더 높여보자.

3차원 좌표 평면에 $n$개의 점 $(A[i], B[i], C[i])$가 있다. (편의상 점들의 좌표가 모두 다르다고 하자.)

$i

eq j$이면서 $A[i] \leq A[j]$, $B[i] \leq B[j]$, $C[i] \leq C[j]$를 만족하는 튜플 $(i, j)$의 개수를 구하여라.

이를 사전순으로 정렬하면 $A$ 배열의 원소 값은 우선적으로 정렬이 된다.

분할 정복을 사용해보자. 병합정렬이 stable sort라는 점을 상기하자.

이미 $A$를 기준으로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병합정렬을 통해 $B$를 기준으로 정렬을 시도할 것이다.

$A$에 대한 순서는 헝클어지지만, 문제를 전략적으로 풀 수 있다.

1.에 나온 역전 개수 세기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최적화를 시켜보자.

아래 코드를 보면 잘 이해될 것이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typedef tuple piii; #define ALL(x) (x).begin(), (x).end() #define UNIQUE(x) (x).erase(unique(ALL(x)), (x).end()) #define NTH(v, x) (lower_bound(ALL(v), (x)) - (v).begin()) const int MAX_N = 1e5 + 20; namespace FW { int F[MAX_N]; void add(int p, int v) { for (; p(ABC[p1]) <= get<1>(ABC[p2])) { // B 값을 비교 FW::add(get<2>(ABC[p1]), 1); T[p++] = ABC[p1++]; } else { CountInversion += FW::sum(get<2>(ABC[p2])); // !!!! T[p++] = ABC[p2++]; } } int p1_backup = p1; while (p1 <= m) T[p++] = ABC[p1++]; while (p2 <= r) T[p++] = ABC[p2++]; for (int i=l; i(ABC[i]), -1); // 펜윅트리 초기화 } for (int i=l; i<=r; i++) { ABC[i] = T[i]; } } int main() { scanf("%d", &N;); vector cA, cB, cC; // 좌표압축을 위해 for (int i=1; i<=N; i++) { scanf("%d %d %d", &A;[i], &B;[i], &C;[i]); cA.push_back(A[i]); cB.push_back(B[i]); cC.push_back(C[i]); } sort(ALL(cA)); sort(ALL(cB)); sort(ALL(cC)); UNIQUE(cA); UNIQUE(cB); UNIQUE(cC); ll cnt = 0; for (int i=1; i<=N; i++) { A[i] = 1 + NTH(cA, A[i]); B[i] = 1 + NTH(cB, B[i]); C[i] = 1 + NTH(cC, C[i]); ABC[i] = {A[i], B[i], C[i]}; } sort(ABC+1, ABC+1+N); CDQ(1, N); printf("%lld

", CountInversion); }

주석으로 !!!! 표시된 줄을 보면 원리를 알 수 있다.

우선 초기에 사전순으로 정렬했고, 분할 정복의 결과이므로 병합 이전 $ABC[l:m]$ 원소의 $A$ 값은 $ABC[m+1:r]$ 원소의 $A$ 값보다 항상 작거나 같다.

CDQ 함수자체가 $B$ 값을 기준으로 병합정렬을 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BC[l:m]$과 $ABC[m+1:r]$의 $B$ 값의 원소를 비교하면서 작은 것을 우선적으로 임시배열 $T$에 저장한다. 즉 먼저 $T$ 배열에 저장된 원소의 $B$ 값은 나중에 삽입되는 원소의 것보다 항상 작거나 같다.

마지막으로 $C$ 배열값을 펜윅트리로 처리하였다. 그러므로 $T$ 배열에 먼저 삽입된 원소 중 $C$ 값이 더 작거나 같은 원소들의 개수도 바로 구할 수 있다.

펜윅트리 연산에 소요되는 시간 복잡도가 $O(\log n)$ 이므로, 전체는 $O(n \log^2 n)$ 이다.

이게 뭐지 싶은데 응용을 보면 아주 신기하다. 생각보다 기초 개념과의 거리가 멀어서.. 꼭 연습문제를 같이 풀어봐야하는 것 같다.

사실 이를 이용한 아주 재밌는 문제를 오늘 처음 풀었다. 글을 나누어 포스팅해야겠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6336

from http://lego0901.tistory.com/19 by ccl(A) rewrite - 2020-03-14 18:20:1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2. 언어 특성 활용...

phpmyadmin 설치 차분히 따라해보자

용오름체험휴양마을영농조합법인 / 홍천 용오름캠핑장 팸투어 다녀왔어요.